본문 바로가기

JSP

JSP_3강

  Action tag

XML 태그 형태로 코드를 기술하는 문법은 두 가지로 나뉜다.

  • 표준 액션 : include, forward
  • 커스텀 액션 : JSTL

  Forward와 Redirect

Forward   '전달하다'는 의미를 가짐
  기존에 만들어져 있는 request를 재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(attribute)하고 전송하는 방식  
  주소칸의 URL이 변경되지 않음
Redirect   '변경하다'라는 의미
  기본적으로 페이지를 변경하는 방식으로, 페이지 간 데이터 전달이 불가
  주소칸의 url이 변경됨

  - <a> 태그, 자바스크립트 location.href 방식
  - 페이지 전환 시 새로운 request가 생성되는 방식

  Request

페이지의 전환이란 기존 페이지에서 새 페이지로 변경을 요청하는 request를 서버에 보내는 것이다.

 

Request 객체 내부에는 저장 공간이 2가지 존재한다.

  • Parameter : get/post 방식으로 전송할 때 사용하는 공간 => form 태그로 전송하는 데이터를 저장
  • Attribute : model 객체에서 사용하는 공간

  Get 전송 방식

http://jsframe.com/news?date=20&time=09

=> date와 time 변수에 들어간 값을 전달받은 것

 

<form>

    <input type="text" name="date" value="20">

    <input type="text" name="time" value="09">

</form>

  JSTL(JSP Standard Tag Library)

간단한 프로그램 로직 구현(변수 활용, 제어문 등)

다른 jsp 페이지를 포함 (<c:import>)

날짜, 시간, 숫자의 포맷(출력 형식 지정)

문자열 처리 함수 제공

 

라이브러리 구성)

  • 코어(Core) : 접두어는 c => url - http://java.sun.com/jsp/jstl/core
  • 포맷(format) : 접두어는 fmt => url - http://java.sun.com/jsp/jstl/fmt
  • 함수(functions) : 접두어는 fn => http://java.sun.com/jsp/jstl/functions

라이브러리 처리 - 페이지에 포함시키는 방법)

taglib 지시자를 사용해 접두어와 URL을 작성

 

ex) 코어 사용 시 

      <%@ tablib prefix="c" uri="http;//java.sun.com/jsp/jstl/c"%>

      페이지의 맨 위쪽에 작성

<%@ taglib prefix="fmt" uri="http://java.sun.com/jsp/jstl/fmt" %>
<%@ taglib prefix="c" uri="http://java.sun.com/jsp/jstl/core" %>

'J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JSP_5강(MVC)  (0) 2022.11.01
JSP_4강  (0) 2022.10.23
JSP_2강  (0) 2022.10.19
JSP_1강  (0) 2022.10.18
JSP_0강  (0) 2022.10.1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