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Js

3. 조건문/Swich문

  조건문

조건문은 조건의 결과(true / false)에 따라 다른 코드를 실행하는 구문이다.

 

조건문의 구조)

    만약에(A라면) {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if(ConditionA) {
       B를 실행한다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onsole.log("B를 실행한다");
    } 그렇지 않다면 {          ->        } else { 
        C를 실행한다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onsole.log("C를 실행한다");
    }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}
 
    if(ConditionA) {
         B를 실행    : 조건A를 만족할 경우 실행;
    } else if(ConditionD) {
         E를 실행    : 조건D를 만족할 경우 실행;
    } else {
        C를 실행    : 조건A와 조건D를 모두 만족하지 않을 경우;
    }
<script>
   var score = prompt("점수를 입력해주세요.");
   console.log("제 점수는요 : " + score);

   if(score>=90){   // 90 ~ 100
    console.log("A학점입니다.");
   } else if(score>=80){    // 80 ~ 89(위에 if문에 90점이 있기 때문에)
    console.log("B학점입니다.");
   } else if(score>=70){    // 70 ~ 79(위에 else if문에 80점이 있기 때문에)
    console.log("C학점입니다.");
   } else if(score>=80){    // 60 ~ 69(위에 else if문에 70점이 있기 때문에)
    console.log("D학점입니다.");
   } else {                 // 60점 미만
    console.log("F학점입니다.");
   }
</script>

  switch문

조건문 중에서는 switch문도 존재한다.

 

switch문의 구조)

    switch(조건변수) {

        case 변수1 :
            조건변수가 변수1일때 실행;
            break;

        case 변수2 :
            조건변수가 변수2일때 실행;
            break;    

        case 변수n :
            조건변수가 변수n일때 실행;
            break;
   
        default :
            break;

    }
 
-> break문은 switch문을 멈추게 하는 역할이다.
<script>
    switch(num){
        case 1 :
            document.write("num의 값은 1입니다.");
            break;
        case 2 : 
            document.write("num의 값은 2입니다.");
            break;
        case 3 : 
            document.write("num의 값은 3입니다.");
            break;
        default :
            document.write("해당하는 숫자가 없습니다.");
            break;
    }
</script>

  script를 활용한 html

<!DOCTYPE html>
<html lang="ko">
<!-- head -->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title>좋아하는 계절(Season)</title>
</head>

<!-- body -->
<body>
    <fieldset>
        <legend>좋아하는 계절</legend>
        <h3>[1]봄  [2]여름  [3]가을  [4]겨울</h3>
        <input type="text" id="season">
        <input type="button" value="입력" onclick="input1()">
        <!-- 
            onclick="input1()"
            : 버튼을 클릭했을 경우
              script에 있는 input1()함수를 호출한다.
        -->
        <h1 id="result"></h1>
    </fieldset>
</body>

<!-- script -->
<script>
    // input1() 함수 만들기!
    function input1(){
        var season1 = document.getElementById("season").value;
        // document.getElementById("season").value;
        // 문서(body)에서 id값이 season인 요소의 '값(value)'을 불러온다.

        console.log("season1 : " + season1);

        switch(season1){
            case "봄" : 
                // document.write("좋아하는 계절은 봄 입니다.");
                document.getElementById("result").innerHTML = "좋아하는 계절은 봄 입니다.";
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case "여름" : 
                // document.write("좋아하는 계절은 여름 입니다.");
                document.getElementById("result").innerHTML = "좋아하는 계절은 여름 입니다.";
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case "가을" : 
                // document.write("좋아하는 계절은 가을 입니다.");
                document.getElementById("result").innerHTML = "좋아하는 계절은 가을 입니다.";
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case "겨울" : 
                // document.write("좋아하는 계절은 겨울 입니다.");
                document.getElementById("result").innerHTML = "좋아하는 계절은 겨울 입니다.";
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default : 
                // document.write("잘못 입력했습니다. 계절을 입력해주세요.");
                document.getElementById("result").innerHTML = "잘못 입력했습니다. 계절을 입력해주세요.";
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}
    }
</script>
</html>

'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6. 변수와 HTML 구조 설정  (0) 2022.08.18
5. while문과 continue/break  (0) 2022.08.18
4. for문  (0) 2022.08.17
2. 연산자  (0) 2022.08.15
1. JavaScript 기초  (0) 2022.08.1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