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s
1. JavaScript 기초
삼색이삼랑해
2022. 8. 15. 14:04
JavaScirpt란?
스크립트(script)는 간단한 언어로 작성한 짧은 명령어 등을 의미한다.
따라서 자바스크립트(JavaScript)는 '스크립트 언어 + 웹에서 사용하는 언어'라고 한다.
변수
변수란 변하는 수,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이다. 작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.
[데이터타입] [변수이름] = [변수값];
1. 데이터 타입
데이터 타입은 총 5가지이다.
- number(숫자형)
- string(문자형)
- boolean(논리형) -> 참(true) / 거짓(false) 판별
- undefined -> 정의되지 않음
- null -> 비어있음
2. 변수 이름 규칙
- 카멜(낙타) 표기법을 사용한다. -> 시작은 소문자로, 다른 의미의 단어가 나올 경우 대문자로 시작. ex) 학생번호 = 학생(stu) + 번호(num) = stuNum 즉, 다른 사람이 보기에도 어떤 변수인지 알아볼 수 있어야 함.
- 영문자, 숫자, 특수문자(언더바(_), 달러($))로만 지을 수 있다.
- 변수 이름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.
- 예약어(var, document, console 등등)는 사용할 수 없다.
script에서 선언한 변수 출력
<!DOCTYPE html>
<html lang="ko"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Variable(변수)</title>
</head>
<body>
</body>
<!-- script -->
<script>
var number1 = 10; // number
var number2 = '10'; // string
var number3 = true; // boolean
// script에서 출력할 때 : console.log( );
console.log("number1 : " + number1);
console.log("number1의 타입 : " + typeof(number1));
console.log("number2 : " + number2);
console.log("number2의 타입 : " + typeof(number2));
console.log("number3 : " + number3);
console.log("number3의 타입 : " + typeof(number3));
// script에서 선언한 내용을 body에서 출력할 때(여러가지)
// document.write( );
document.write("script의 내용을 body에 출력합니다.");
document.write("<br/><h1>number1 : " + number1 + "</h1>");
</script>
</html>
기호 이름 알고가기
` : Backtick(백틱), Grave(그레이브)
! : Exclamation mark(엑스클레메이션), 느낌표
@ : At sign(앳), 골뱅이
# : Sharp(샵), Number sign(넘버), 우물정
$ : Dollar sign(달러)
% : Percent sign(퍼센트)
^ : Caret(캐럿)
& : Ampersand(엠퍼센드)
* : Asterisk(에스터리스크), 별표
- : Hyphen(하이픈), Dash(대시), 마이너스
_ : Underscore(언더스코어), Low dash(로대시), 언더바, 밑줄
= : Equals sign(이퀄스), 동등
" : Quotation mark(쿼테이션), 큰 따옴표
' : Apostrophe(아포스트로피), 작은 따옴표
: : Colon(콜론)
; : Semicolon(세미콜론)
, : Comma(콤마), 쉼표
. : Period(피리어드), 닷, 점
? : Question mark(퀘스천), 물음표
/ : Slash(슬래시)
| : Vertical bar(버티컬 바)
\ : Backslash(백슬리시)
(): Parenthesis(퍼렌서시스), (소)괄호
{}: Brace(브레이스), 중괄호
[]: Bracket(브래킷), 대괄호